본문 바로가기
경제

GDP(Gross Domestic Product) 이해하기

by 한고래잉 2022. 9. 5.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고래잉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주제는 GDP(Gross Domestic Product)에 대해 이해하기입니다. GDP는 주요경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하면 “GDP”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발행글 중 산업생산지수 이해하기 글을 보시면 GDP 간략하게 설명을 하였는데, 이번에는 GDP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참조“ 경제신문읽는법”. “나무위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사이트를 참조하여 이해한 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았습니다.

 


   GDP(Gross Domestic Product)란?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GDP의 정의는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의 영토 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의 합계입니다.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생산물을 하기에 이전소득과 같은 것은 해당 사항이 없으며, 최종재이기에 부품의 원자재등 중간재 역시 GDP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GDP라는 말이 나온 이유가 있습니다. 오래전에 금, 은 등이 많은 나라가 부자의 나라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금, 은만을 가지고 살아갈 수 없고, 우리는 물과 식량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나라 국민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것이 얼마나 많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GDP입니다.

우리는 GDP(Gross Domestic Product)는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을 말하는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GDP와 함께 항상 등장하는 GNP라는 개념도 이해해야 하는데 GNP(Gross National Product)는 영토와 상관없이 한국인이 생산한 것을 모두 합친 것을 의미합니다.

1990년대까지는 GNP를 중시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시간에 지남에 따라 글로벌 경제 시대가 되고, 다국적 기업이 늘어나면서 해당 국가의 경제력과 경제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 대세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후에는 GDP를 더 중요시 여깁니다. GDP의 성장은 곧 경제성장률의 의미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반응형

    명목GDP와 실질GDP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2020년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차가 1대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때, 이 차의 가격은 500만원입니다. 그리고 2021년에도 똑같이 차를 1대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차 가격이 올라 600만원이 되었습니다. 여기서 명목GDP는 보이는 그 시점의 가격을 측정하는 것이기에 600만원을 물질적 부로 계산하게 됩니다. 하지만 실질GDP에는 물가상승률 분을 뺀 것이기에 똑같은 2020년과 2021년에는 똑같은 차를 만들 었기에 2020년의 가격인 500만원으로 변함이 없다고 계산하는 것입니다.

 

 

   잠재GDP

잠재GDP가 있습니다. 잠재GDP란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모든 기술들을 발휘하여 생산 할 수 있는 물질적 부의 합계를 말합니다. 1년 동안 모든 공장, 인력 등을 가동했을 때 생산되는 모든 물질적인 부의 합계를 의미합니다. 즉 평균적으로 8시간 근무했을 때의 생산 가능한 물질적 부를 의미합니다.

대한민국의 잠재GDP가 1조라고 가정해봅시다. 그렇다면 실제적인 물질적 부도 1조가 될까요? 아닙니다. 정말 말 그대로 잠재일 뿐입니다, 대한민국의 능력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국내 소비자나 국외 소비자의 요청으로 더 많은 물건을 생산하게 된다면 1조 이상이 될 것입니다. 또한, 생각만큼 수요가 줄어들게 된다면 1조에 미치지 못하게 됩니다.

 

 

    GDP디플레이터 

GDP디플레이터가 생기게 된 이유가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를 통해 소비자 또는 기업이 필요한 항목을 대표로 선정하여 계산한 바 있습니다. 그러면 대한민국에서 거래되는 모든 물건의 가격이 얼마나 변동되었는지 알고싶어 합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GDP디플레이터입니다.

GDP디플레이터(GDP deflator)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물건의 가격의 변동을 조사한 것입니다. GDP디플레이터를 계산하는 방법은 명목GDP와 실질GDP를 이용해서 계산하게 됩니다.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상 글을 정리 하면서... 

오늘은 GDP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GDP는 우리가 경제를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는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기회에 자세하진 않지만 그래도 GDP의 개념과 GDP에서 활용되는 것들을 이해하시면 경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오늘의 알아두면 득이 되는 잡다한 정보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좋은 잡다한 정보를 들고 찾아오겠습니다.

 

2022.09.03 - [분류 전체보기] - 생산자물가지수 이해하기

2022.09.01 - [분류 전체보기] - 소비자물가지수 이해하기

2022.08.29 - [분류 전체보기] - 통화(=돈=화폐) 이해하기

2022.08.27 - [분류 전체보기] - 경상수지 이해하기

2022.08.26 - [분류 전체보기] - 기준금리, 양적완화, 양적긴축 이해하기

2022.08.21 - [분류 전체보기] - 산업생산지수 쉽게 이해하기

2022.08.20 - [분류 전체보기] - 환율 쉽게 이해하기

2022.08.19 - [분류 전체보기] - 경제지표(2)_분기, 반기, 흑자, 적자, %포인트, bp

2022.08.19 - [분류 전체보기] - 경제지표(1)_지수, 전월비, 전년동월비 이해하기

2022.08.18 - [분류 전체보기] - 인플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 주가 관계)

2022.08.17 - [분류 전체보기] - 금리 쉽게 이해하기

2022.08.17 - [분류 전체보기] - FOMC란? 주식? 투자? 팔아? 사? 지금이 고점?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자물가지수 이해하기  (0) 2022.09.03
소비자물가지수 이해하기  (0) 2022.09.01
통화(=돈=화폐) 이해하기  (0) 2022.08.29
경상수지 이해하기  (0) 2022.08.27
기준금리, 양적완화, 양적긴축 이해하기  (1) 2022.08.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