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기준금리, 양적완화, 양적긴축 이해하기

by 한고래잉 2022. 8. 26.
반응형

    기준금리, 양적완화, 양적긴축 

안녕하세요. 한고래잉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주제는 기준금리와 양적완화 그리고 양적긴축 이해하기입니다.

기준금리의 인상과 인하는 양적긴축, 양적완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단어들은 많이 들어봤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이에게 바로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조금 자세히 알아보고자 “경제신문읽는법” 사이트를 참고하여 이해한 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았습니다.

관력 많이 들어봤어도 뜻을 알아 두면 더 도움이 될 것 같아 “경제신문읽는법” 사이트를 참고하여 이해한 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았습니다.

 


 

   기준금리란?

기준금리는 한국은행과 일반은행 사이에서의 자금을 거래할 때의 “금리”를 기준금리라고 합니다.

현재 기준금리라 1%라면 자금이 많은 시중은행은 한국은행에 돈을 맡길 수 있으며 1%에 해당하는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한국은행에 대출을 받을 때에는 1%에 달하는 이자를 지급하면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

 

   기준금리 인화와 양적완화

금리 인하는 대부분 죽어가는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때 사용됩니다. 기준금리가 1%라고 하면 시중은행의 금리는 약 2%로 가정해봅시다. 시중은행도 어떠한 형태로 이익을 남겨야하기에 기준금리보다는 약간 금리를 높게 책정합니다. 이러한 금리의 인하는 대부분 사람들에게는 크나큰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100만원을 빌려도 2만원만 갚으면 되기 때문에 큰 부담이 없으며 이는 소비의 촉진을 유발하며 곧 경제가 활성화되는 메커니즘을 가지게 됩니다.

그럼 경제를 살리기 위해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낮추어 0% 즉, 제로금리 시대가 왔다고 해봅시다. 그런데도 경제는 예상했던 바와 다르게 계속해서 안좋아지고 있습니다.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할 까요? 이때 “양적완화”라는 방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양적완화 

양적완화는 경제시장에 돈을 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돈일 찍어서 막뿌리는 것이 아니라 채권을 구입하는 것입니다. 시중은행이 가지고 있는 채권을 구입하는 것입니다.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의 채권을 돈으로 구입하게 되면 시중은행은 현금이 넘처나게 됩니다. 이러한 쌓여있는 현금으로 시중은행은 사람들에게 이전보다 더 좋은 혜택으로 돈을 빌려주게 되고 그렇게 되면사람들은 돈을 빌리기가 더 쉬워지게 됩니다. 그러면 주머니 사정이 이전보다는 원활하게 되고, 이는 곧 이 빌린돈으로 소비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비는 경제의 순환에 도움이 되고 암울했던 경제시장에 활기가 생기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결국, 기준금리와 양적완화를 통해 사람들의 소비를 촉진시켜 경제시장을 원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전보다 많은 돈을 지출하면서 경제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는 것입니다.

 

 

    긴축이란

양적긴축은 양적완화와 반대되는 개념일 것이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양적긴축은 문자 그대로 양을 줄인다는 것으로 경제 시장에서 돈의 지출을 아끼는 것이 되겠습니다.

지금 기준금리 인하와 양적완화로 시장에 너무나 많이 돈이 풀렸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렇게 되면 수요는 점차 증가하는데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똑같은 재화를 더 비싼값에 사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곳 물가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아시다시피 물가의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게 되고 경제의 침체기에 접어들 것입니다.

이럴땐 국가는 양적완화 정책이 아니라 양적긴축과 기준금리 상승 등을 통해 시장에 유통되는 돈을 줄이고 적금이나 예금을 유도하게 됨으로써 강제적으로 시장에 현금의 유통을 줄이게 됩니다.

 

 

    이상 글을 정리하면서...

경제는 순환된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성장으로 좋은 시절이 끊임없이 있는 것이 아니라 경제가 나쁜 시기도 반드시 존재하게 됩니다. 어떠한 우발적인 경우가 발생할 수 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가는 이러한 경제가 좋지 않으면 좋게끔 유도하고 경제가 활성화로 인해 부정적인 상황이 오면 이를 적당하게 경제가 성장하도록 유도하게 됩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앞서 작성한 글처럼 세계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것은 끊임없는 공부와 여러 가지 뉴스와 경제 강대국(=미국)과 관련된 일의 정보를 빠르게 찾아보는 것으로 세계 경제의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잘 알고 있다고 해서 주식. 코인, 투자와 같은 것을 무조건 잘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도 전반적인 흐름을 알면 현재 상황을 대처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는 것이 맞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얄팍한 경제 지식을 이해해서 찾아오겠습니다.

 

 

2022.08.17 - [분류 전체보기] - FOMC란? 주식? 투자? 팔아? 사? 지금이 고점?

2022.08.19 - [분류 전체보기] - 경제지표(1)_지수, 전월비, 전년동월비 이해하기

2022.08.19 - [분류 전체보기] - 경제지표(2)_분기, 반기, 흑자, 적자, %포인트, bp

2022.08.17 - [분류 전체보기] - 금리 쉽게 이해하기

2022.08.18 - [분류 전체보기] - 인플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 주가 관계)

2022.08.20 - [분류 전체보기] - 환율 쉽게 이해하기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돈=화폐) 이해하기  (0) 2022.08.29
경상수지 이해하기  (0) 2022.08.27
산업생산지수 쉽게 이해하기  (0) 2022.08.21
환율 쉽게 이해하기  (0) 2022.08.20
경제지표(2)_분기, 반기, 흑자, 적자, %포인트, bp  (0) 2022.08.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