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생산자물가지수 이해하기

by 한고래잉 2022. 9. 3.
반응형

    생산자물가지수(PPI : Producer Price Index)

 

안녕하세요. 한고래잉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주제는 생산자물가지수에 대해 이해하기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주요경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하면 생산자물가지수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중요하기에 주요지표란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간단하게 생산자물가지수 이해하기 시작해 보겠습니다.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참조“ 경제신문읽는법”. “네이버지식백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사이트를 참조하여 이해한 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았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란?

 

생산자물가지수는 문자 그대로 생산자의 물가지수입니다. 즉, 기업의 비용증가로써 생산원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전 시기보다 원가의 가격이 올랐다면 생산자물가지수는 상승했다고 하며, 이전 시기보다 가격이 내렸다면 생산자물가지수는 하락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이유는 향후의 소비자물가지수를 예측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물건을 소비자가 사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다면 소비자가 구매할 때 제품의 단가도 그만큼 올라갈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자재 가격 상승은 생산자물가지수 상승으로 이어지고 결국엔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하게 됩니다. 

 


반응형

 

   생산자물가지수 조사 항목

소비자물가지수의 조사 항목은 문자 그대로 기업이 이용하는 각종 상품들의 가격을 조사한 것입니다. 그러면 모든 기업이 이용하는 품목을 조사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이것은 계산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 이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품목만을 조사하여 평균내는 방법으로 생산자물가지수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2021
08
2021
09
2021
10
2021
11
2021
12
2022
01
2022
02
2022
03
2022
04
2022
05
2022
06
2022
07
총지수 7.40 7.60 9.10 9.80 9.00 8.90 8.50 9.00 9.70 9.90 10.00 9.20
농림수산품 2.80 -2.70 2.60 5.80 6.10 1.50 -6.60 -6.30 -1.50 1.30 1.70 4.20
공산품 12.90 13.50 15.70 16.50 14.40 14.20 14.30 15.10 15.40 15.20 15.30 12.80
전력 가스 및 수도 1.40 3.20 6.20 8.60 9.70 13.30 12.40 11.60 16.90 16.30 16.20 21.40
서비스 2.30 2.40 2.50 2.60 2.70 2.70 2.50 2.70 2.90 3.20 3.30 3.50
(출처: e-나라지표)

 

    생산자물가지수 가중치는? 

생산자물가지수를 계산할 때 기업에 더 밀접한 것은 항목의 비중을 더 높게 쳐주는 것이 생산자물가지수 가중치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종이 가격이 2배 뛰었다고 가정해봅시다. 1원 하던 것이 2원이 되었다고 기업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석유 가격이 2배로 올랐다고 하면 모든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석유가 없으면 생산하기 위한 원자제를 수입하기도 힘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품목마다 가중치를 주어서 생산자물가지수를 계산하게 되는 것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 계산법

지난달 종이 가격은 50원 가중치 10이라고 하겠습니다. 또한, 지난달 석유 가격은 1000원 가중치를 90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이번달 생산자물가지수는 종이만 100원이 되고 나머지는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그러면 생산자물가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즉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은 0.55%가 됩니다.

 

 

    이상 글을 정리 하면서...

오늘은 생산자물가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원자재를 구입하는 시기의 가격을 말하는 것으로 아주 중요한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이전에 다루었던 소비자물가지수와 계산 방법도 일치하니 접근하기 더 편했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다만 어떤 지표가 먼저 경제에 반영 되는지를 잘 생각하면서 공부한다면 더 넓은 시각으로 경제에 대해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생산자물가지수 계산과정도 쉬우니 한번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09.01 - [분류 전체보기] - 소비자물가지수 이해하기

2022.08.27 - [분류 전체보기] - 경상수지 이해하기

2022.08.26 - [분류 전체보기] - 기준금리, 양적완화, 양적긴축 이해하기

2022.08.21 - [분류 전체보기] - 산업생산지수 쉽게 이해하기

2022.08.20 - [분류 전체보기] - 환율 쉽게 이해하기

2022.08.19 - [분류 전체보기] - 경제지표(2)_분기, 반기, 흑자, 적자, %포인트, bp

2022.08.19 - [분류 전체보기] - 경제지표(1)_지수, 전월비, 전년동월비 이해하기

2022.08.18 - [분류 전체보기] - 인플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 주가 관계)

2022.08.17 - [분류 전체보기] - 금리 쉽게 이해하기

2022.08.17 - [분류 전체보기] - FOMC란? 주식? 투자? 팔아? 사? 지금이 고점?

반응형

댓글